#자동차 #전기차 #관세 #스마트팩토리 #로봇 #디지털트윈
최근이슈
- 2025년
-
2025-03-27 트럼프, 수입산 자동차 25% 관세 긴급 발표
-
미국 시간 수요일(3/26),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부로 모든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며, 이는 미국 해방의 날의 시작이라고 자평. 이 같은 발표에 GM 주가와 Ford 주가는 수요일 시간외에서 -7%, -4.6% 하락. [반면 정규장에서 -5.6% 하락했던 Tesla는 시간외 약 +1% 상승 중인데, Tesla 미국 판매 중 미국산 비중이 100%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관세 영향이 적기 때문으로 판단.
관세 면제를 위해 완성차 업체들이 해야할 것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가 항구적이라고 밝힘(This is permanent, 100%). 그러나 그동안 협상에 있어서 트럼프 대통령이 유연성을 강조해 왔기 때문에, 향후 협상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고 판단함.
자동차 부품의 경우 [미국-캐나다-멕시코 무역협정(USMCA) 원산지 규정을 충족하는 부품은 ‘일단’ 관세 대상에서 면제]. 단, 이는 향후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데, 백악관은 미국 상무부 장관이 미국산 외 부품(non-U.S. content)에 대한 관세 기준을 마련할 때까지 USMCA 기준을 충족하는 부품은 관세 대상에서 면제될 것이라고 밝힘.
한국 완성차들은 미국에서 판매하는 자동차 중 수입산 비중이 가장 높다. 현대차의 210억 달러 투자로 트럼프 대통령이 현대차는 관세가 없다라고 언급했지만 어디까지나 미국산 원재료로 구성되고 미국에서 생산된 자동차 상품에 국한되는 것으로, 현대차가 한국에서 생산하고 미국으로 판매되는 제품은 여전히 관세 대상이다.
자동차와 부품 관세율이 최종적으로 25%로 확정되지는 않겠으나 worst-case 시나리오(한국산 15% / 멕시코산 25%) 가정 시, 가장 크게 수익성이 하락하는 기업은 넥센타이어, 한온시스템, 금호타이어, 현대위아, 현대차, 기아, 한국타이어, HL만도, 현대모비스 순이다
시장은 정밀한 관세율 예측을 통해 자동차 업종 주가를 전망하려고 하나, 이는 중요하지 않다. 트럼프 1기 경험을 대입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1기 당시에도 결국 자동차 관세는 0%로 마무리되었으나, 자동차 업종은 불확실성에 시달리며 가장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한 업종으로 기록되었다. 특히, 트럼프 1기 초반에 자동차 업종 수익률이 저조했는데, 2기도 마찬가지이다. 임기 초반에 트럼프에 굳이 맞설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다

시장이 격렬하게 반응한데에는 세 가지 이슈가 있다. -
시장 예상보다 강경한 기조로 발표된 자동차 관세.
-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부터 ‘[미국에서 생산하지 않은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는 명령]에 서명. 관세율은 25%이고 4월 3일부터 징수할 예정.
자동차 관세는 이미 부과하는 관세에 추가되는 것이고, 예외 협상에 관심이 없으며 다시 관세 부과를 유예하지 않을 거라고 함.
자동차 관세에 진지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이 관세는 영구적 (permanent)이라고 덧붙임. 현재까지 나온 내용으로는
- 4월 2일에 상호관세 이외에 특정 품목에 대한 관세가 발표되지 않을 거라던 내용과 다르고,
- 상호관세가 기존 관세에 추가되는 형태는 아닐 거라고 했는데 [자동차 관세는 이미 부과하는 관세에 추가된다는 점] 등이 시장이 기대했던 것과는 다름. 최근 안도했던 시장의 투자심리가 다시 움츠러들었고, 장마감 이후에 GM, 포드, 스탤란티스 등 자동차주는 4% 이상 하락
-
-
관세가 면제될 가능성이 있는 자동차 부품.
-
관세의 세부안은 공개되지 않았음. 그러나 버니 모레노 상원의원 (공화당, 오하이오주)을 포함해서 이번 자동차 관세 논의에 참여한 인사들이 [자동차 부품에 관세를 적용하지 않을 거라고 언급한 보도가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 명령 서명 직전까지 나왔음].
최근 며칠 동안 자동차 관세에 대한 논의는 자동차 부품의 관세 면제에 집중됐던 것으로 알려짐.
자동차의 최종 조립을 미국으로 되돌리도록 하기 위해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도 시행될 가능성이 있지만, 이번 자동차 관세에서는 완성차에 부과되는 것으로 시작할 전망. 그래야 미국에서 판매되는 차량 중에 수입차의 비중이 낮은 미국 기업들의 피해를 그나마 조금 줄일 수 있기도 함.
브랜드별로 미국에서 판매되는 완성차 중에서 수입차의 비중을 보면, 포드(F)는 21%, 스탤란티스는 45%, GM은 46%. 이는 폭스바겐 80%, 메르세데스 벤츠 63%, 현대-기아차 65%, 르노-닛산-미쓰비시 53%, 도요타 51%에 비해서는 조금 낮은 편.
미국 완성차 중에 캐딜락 같은 고급 브랜드와 미국에서 수요가 높은 픽업 트럭은 주로 미국에서 제조하지만 대중 브랜드는 수입 비중이 높다는 점을 감안해야 함.
치명적인 자동차 부품 관세 부과를 피해도 미국 기업들 역시 부정 영향은 피할 수 없음
-
-
인플레이션 우려와 함께 높아질 경기 걱정.
-
미국 신차 판매 중 수입차 비중은 약 50% 정도. 완성차 업체들이 25% 관세 부담을 일부 소비자들에게 전가할 것으로 예상.
이에 관세에 따라 [최소 신차 가격은 20% 내외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며, 신차 구입 부담 증가에 따라 [미국 신차 수요 위축]예상. 미국 신차 수요는 팬데믹 이전(1,700~1,800만대)을 하회한 1,600만대 수준에 머물러 있는데, 이러한 관세는 미국 신차 수요 회복 지연 요인으로 판단함.
신차 가격 상승에 따라 미국 소비자들의 중고차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 존재. 이는 Carmax와 같은 미국 중고차 업체에게는 일부 수혜가 될 수 있을 것.
-
이번 관세가 가격에 전부 전가되면, 자동차 가격이 평균 12,5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자동차 제조사들은 평가. 그런데 자동차 가격이 많이 오르면 신차 수요가 크게 약해질 전망.
이미 자동차 구입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
작년 미국에서는 173만 대의 자동차가 압류. 2009년 이후 최고치이고, 전년 대비 16% 증가한 수치.
서브프라임 자동차 대출자의 60일 이상 연체 비율은 1월에 6.56%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 2월에 자동차 대출 평균 금리가 10.16%로 4개월내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금리가 좀처럼 낮아지지 않고 있는데,
자동차 가격이 더 오르면 신차 수요는 크게 약해질 전망.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대출에 대한 세금 공제를 감세안에 포함해달라고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에게 요청했는데, 세금 공제 혜택은 미국에서 제조된 자동차로 제한.
미국 안으로 생산 설비를 빠르게 이전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신차와 중고차 모두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음.
어제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관세가 직접 물가를 올리는 일회성 가격 상승을 이끌 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비수입 제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올리는 2차 효과를 낼 수 있는데, 이 2차 효과가 인플레이션에 더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함.
고용처럼 경기 우려가 가시화되기 전까지 연준이 서두르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 그러나 정책의 부정 영향은 계속 확인되는 중.
댈러스 연은 서베이에 따르면, 석유/가스 기업경영진은 불확실성과 비용 증가가 사업 계획에 부정적이라고 했고, 무살렘 총재도 기업들이 고용과 투자를 미루고 있다고 함
-
-
테슬라(TSLA -5.58%)는 경쟁 심화와 투립비용 증가, [캐나다의 보조금 삭감], [자동차 관세] 시사에 하락. 일부 언론에서는 [완성차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되 자동차 부품은 제외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자동차 관세 관련 일부 완화]되었지만, 하락은 지속. 리비안(RIVN -2.10%), 루시드(LCID -3.09%)등 전기차 업체들과 퀀텀스케이프(QS -2.77%), 앨버말(ALB -2.51%)등 2차 전지, EVGO(EVGO -2.11%)등 충전 업체 등 전기차 관련 기업들이 대부분 하락. 여기에 GM(GM -3.12%), 스텔란티스(STLA -3.55%)등 완성차 업체도 부진. 포드(F +0.10%)는 하락하다 오히려 자체 생산이 많은 포드에 긍정적이라는 점이 부각되며 상승 전환. 자동차 부품 회사들인 마그나 인터(MGA +1.18%), 리어 코퍼(LEA +1.57%), 애디언트(ADNT +3.43%)등은 관세 부과에서 면제될 수 있다는 소식에 상승
-
-
2025-04-30, 자동차/부품 관세 2년간 완화
-
수입 부품 의존도를 단계적으로 낮출 시간을 자동차 업계에 주기 위한 결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미국에서 생산되는 자동차에 사용된 수입 부품에 대한 관세를 2년간 한시적으로 완화하는 행정명령 발표. 2025년 4월 3일부터 모든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5월 3일 부터 시행 예정이었던 자동차 부품에 대한 동일한 25% 관세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
이번 완화 조치의 핵심은 미국 내에서 조립된 차량 한 대당 일정 금액까지의 부품에 대해 25% 관세를 면제해주는 크레딧(credit) 제도라는 점
구체적으로 1년차에는 미국에서 생산된 차량 가격(MSRP)의 15%에 해당하는 부품에 부과된 관세를 환급 또는 면제. [차량 가치의 15%에 대해 25% 관세를 면제함으로써 차량 가격의 3.75%에 해당하는 비용 절감] 효과를 내는 것. 소비자가격이 $30,000인 차량의 경우 한 대당 약 $1,125(= $30,000×3.75%)의 관세 부담을 덜 수 있을 것.
2년차에는 차량 가격의 10%에 해당하는 부품까지 관세 면제 크레딧을 축소. 즉 2년차에는 차량가의 2.5%에 해당하는 관세 부담 경감 한도를 제공. 이러한 한시적 크레딧 제도는 2년간 시행된 후 종료. 이후에는 수입 부품에 대한 25% 관세가 전면 적용될 계획
미 상무부, “2년이면 충분한 시간. 미국 내 제조업체들이 완전한 국산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업계 호소를 반영한 결정”
비용 절감 및 수익성 개선 효과 기대. 예를 들어, 부품의 해외의존도가 높은 픽업트럭(Ford F-150은 약 55%, GM 실버라도는 50% 수입 부품 의존)의 경우 당초 계획대로라면 수입 부품 관세만으로 차량 가격의 12~14%에 달하는 추가비용 발생이 우려되었음.
이번 완화 조치 덕분에 최대 절반 이상의 관세가 상쇄되면서 추가 비용 부담이 줄어들 것
전면적인 관세 부과 시 신차 가격이 대폭 상승해 시장에 충격을 줄 것으로 우려했으나 가격 인상 폭이 우려보다는 줄어들 수도 있을 것.
미국산 차량의 약 60%에 이르는 부품이 수입산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부품 관세가 중복 적용될 경우 소비자 차량 가격이 두 자릿수 이상 상승할 수도 있다는 우려 있었음
-
-
유럽자동차 판매
- 2025년
-
2025-03-26, 유럽 자동차 판매(2 월) : 전체 소비는 약하지만, 전기차 전환 지속
-
유럽 신차 등록대수: 연초 소비 심리 약화로 주요 시장의 수요 감소
- EU + EFTA + UK : 96.4 만대로 -3.1%YoY(이하 YoY 생략), -3.2%MoM 기록
- 각국 신차 등록 대수: 판매량 상위 1~4 위 국가인 독일 -6.4%, 영국 -1.0%, 이탈리아 -6.2%, 프랑스 -0.7% 모두 감소
Comment:
- 지난달 -2.1% 감소에 이어 여전히 부진한 자동차 판매 기록.
- 러우 전쟁과 저조한 소비심리로 자동차 시장도 영향 받고 있으며, 전기차로의 전환 가속화 전망됨
-
파워트레인별: 전기차 +26.1%, HEV +18.3%, ICE -23.3%
- 전기차(BEV) +26.1% 증가한 16.5만대, HEV +18.3% 증가한 34.0만대, 내연기관차
-23.3% 감소한 38.6 만대 등록 - 전기차는 독일 3.6 만대(+30.8%), 영국 2.1 만대(+41.7%) 판매하면서 유럽 전기차 판
매량 증가를 이끔 - EU의 탄소 배출 규제 강화에 맞춘 전기차 라인업 확대와 소비자 선호 변화 영향
Comment:
- 1~2 월 누적으로 BEV는 전체 판매량 중 15.2%를 차지하며 전기차 전환 지속 중
- 25 년부터 강화되기로 한 CO2 배출 규제 정책이 지연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완성차 업체들의 BEV 신규 모델들 출시로 전기차 판매량 정상화 국면에 진입
- 전기차(BEV) +26.1% 증가한 16.5만대, HEV +18.3% 증가한 34.0만대, 내연기관차
-
브랜드별: 현대차 -7.2%, 기아 -7.7%, 테슬라 -40.1% 기록
- 현대차 -7.2% 감소한 3.7만대, 기아 -7.7% 감소한 3.6만대 기록, Tesla(TSLA) -40.1% 감소
한 1.7 만대 - BYD 0.6만대, 다른 중국 브랜드 업체들 4.9만대로 아직 유럽 전체 차량 판매에서 중국차비중은 5~7% 수준. 하지만 높은 관세에도 불구하고 [중국 OEM 들의 점유율은 상승 지속 중]
Comment:
- Tesla(TSLA) 판매량은 전년대비 -40.1% 감소했지만, 1 월의 1.0만대 대비 +69.8% 증가함. 주력모델인 모델Y의 F/L 모델 3 월 출시 예정에 따른 수요 급감이며,[ 3 월부터는 급격한 반등 예상됨]
- 폭스바겐(VWAGY )은 2 월에 +180% 증가한 약 2.0 만대의 BEV 를 판매했으며, BMW(BMWYY) 그룹은 미니 브랜드를 포함하여 1.9 만대의 BEV를 판매. BYD는 +157.6% 증가한 5,558 대 기록
- 1~2 월 유럽 전기차 시장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테슬라의 판매 감소와 전통 제조사 및 중국 브랜드의 약진이 두드러짐
- 현대차 -7.2% 감소한 3.7만대, 기아 -7.7% 감소한 3.6만대 기록, Tesla(TSLA) -40.1% 감소
-
-
1. 자동차 산업 개요 (경제 파급 영향 포함)
자동차 산업은 제조업, 서비스업, 연구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광범위한 경제적 파급 효과를 지닌 핵심 산업입니다. 고용 창출, 부가가치 창출, 관련 산업 성장 촉진 등에 기여하며 국가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 휴머노이드 로봇이 만드는 반값 자동차
- 자동차 산업은 인력 고용이 가장 많은 산업이며, 휴머노이드 로봇을 대변되는 AI 로봇은 이러한 자동차 산업의 원가 구조와 생산지를 바꿀 수 있는 Game Changer이다. 2만~3만달러의 소비자용 로봇 시장이 열리기 위해서는 대량생산이 필요한데, 자동차 산업은 초기 10만달러 수준의 높은 가격을 소화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시장
테슬라(TSLA)가 목표로 하는 것은 100% 무인 공장을 통한 원가절감이다. 테슬라는 로봇이 일할 수 있는 환경 을 만들기 위해, 생산 공정에 전통적인 컨베이어 벨트가 아닌, Unboxed process를 적용할 예정이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관절 자유도가 늘어나도, 사람만큼의 유연성을 갖추기는 어렵다. 100% 무인 공장을 위해서는, 생산 공정이 로봇이 일하는 환경으로 바뀌어야 한다.
- 자동차 산업은 인력 고용이 가장 많은 산업이며, 휴머노이드 로봇을 대변되는 AI 로봇은 이러한 자동차 산업의 원가 구조와 생산지를 바꿀 수 있는 Game Changer이다. 2만~3만달러의 소비자용 로봇 시장이 열리기 위해서는 대량생산이 필요한데, 자동차 산업은 초기 10만달러 수준의 높은 가격을 소화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시장
2. 자동차 산업의 전방/후방 산업
2-1. 전방 산업
- 철강:
- 금속:
- 플라스틱:
- 타이어:
- 미국: Goodyear (US, GT), Bridgestone (US, BRDC)
- 유럽: Michelin (FR, ML)
- 한국: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KR, 161390), 금호타이어(KR, 073240)
- 인도: MRF (IN, 500228)
- 중국: China National Tire & Rubber (CN, 601965)
- 일본: Bridgestone (JP, 5108)
- 반도체:
- 배터리:
- 소프트웨어:
2-2. 후방 산업
- 자동차 부품:
- 자동차 서비스:
- 금융:
3. 글로벌 핵심 기업
4-1. 기업 | 핵심 제품 | 주된 매출 지역 |
---|---|---|
1. Toyota (JP, 7203) | 승용차, 상용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 아시아 (2022) |
2. Volkswagen (US: VWAGY) | 승용차, 상용차, 전기차 (ID 시리즈) | 유럽 (2022) |
3. General Motors (US, GM) | 승용차, 상용차, 전기차 (Chevrolet Bolt, Cadillac Lyriq) | 북미 (2022) |
4. 현대차 (KR, 005380) | 승용차, 상용차, 전기차 (IONIQ 시리즈) | 아시아, 북미 (2022) |
5. Ford (US, F) | 승용차, 상용차, 전기차 (Mustang Mach-E, F-150 Lightning) | 북미 (2022) |
6. Stellantis (FR, STLA) | 승용차, 상용차, 전기차 (Peugeot e-208, Opel Corsa-e) | 유럽, 북미 (2022) |
7. Honda (JP, 7267) | 승용차, 상용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 아시아, 북미 (2022) |
8. Nissan (JP, 7201) | 승용차, 상용차, 전기차 (Leaf) | 아시아, 북미 (2022) |
9. Renault (FR, RNO) | 승용차, 상용차, 전기차 (Zoe) | 유럽 (2022) |
10. BMW (DE, BMW) | 고급 승용차, 스포츠카, 전기차 (i 시리즈) | 유럽, 북미 (2022) |
11. Daimler (DE, DAI) | 고급 승용차, 상용차, 전기차 (EQ 시리즈) | 유럽, 북미 (2022) |
12. Tesla (US, TSLA) | 전기차 (Model S, Model 3, Model Y, Model X) | 북미, 유럽, 중국 (2022) |
4. 스마트팩토리와 AI, 자동차
AI와 로봇 기술이 가장 절실한 곳은 자동차 제조 현장
자동차 스마트팩토리 구축시 공장 비용 최소 25% 감소, 납품 10% 개선, 자동차 출시 기간 6개월 단축, 에너지소비 20% 감소, 추가 매출 최소 2% 증가가 기대된다. 매우 보수적인 추정이며, 향후 공장 비용이 40% 이상 절감되는 효과가 예상